반갑습니다. 잡지식 스토리의 촉끼남입니다.
이번에는 비점오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점오염이라..
조금은 생소한 단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모르는 단어였는데, 오늘 아침 출근길에 지하철 TV광고 채널에서 비점오염이 어쩌고 저쩌고 한다고 해서 알게 된 단어입니다.
일단 촉끼남은 네이버에서 이 '비점오염'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알아 보았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정의하는 '비점오염'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었습니다.
오염원이 일정한 장소가 있는 것이 아니라 유동적인 오염원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 자동차, 농경지 시비 등.
이렇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촉끼남이 출근길 지하철에서 본 영상은 길가의 배수로에 유입된 쓰레기나 오물들이 빗물에 의해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장면이였는데, 이렇게 정의하는 것만으로는 잘 이해가 안 되었습니다.
그래서 촉끼남은 네이버 지식백과엣 연관 단어를 찾아봅니다. '비점오염원'이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해양과학 용어사전에서 정의하는 '비점오염원'의 정의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수질 오염원은 오염원의 성격에 따라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분류되는데, 점오염원은 오염 배출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하수구나 도랑 등의 형태로 배출되는 오염원이고, 비점 오염원은 넓은 지역으로부터 빗물 등에 의해 씻겨지면서 배출되어 정확히 어디가 배출원이지 알기 어려운 산재된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비점오염원의 예로서는 농경지, 방목장, 도시의 가로, 산림지, 교외지역 등이 있으며, 주로 토양 표면 또는 지표면 가까이 있는 잠재적 오염물질이 빗물에 씻겨 유출수에 포함되어 수계에 유입된다.
음.. 어느 정도 이해가 갑니다.
하지만, 촉끼남은 어딘가 살짝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검색을 조금더 해 봅니다.
그러다, 한국환경공단 홈페이지까지 찾아 들어가게 됩니다.
한국 환경공단에서는 비점오염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비점오염'이란 평상시 지표면에 축척되어 있는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주로 강우시 하천으로 유입되어 물고기나 폐사하거나 녹조가 발생하는 등 하천을 오염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가정하수, 공장폐수 등과 같은 점오염과는 상반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땅 위에 잇는 쓰레기나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차 기름 등이 빗물에 씻겨 강이나 바다로 흘러들면서 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평소 주위에 널려있는 여러 가지 오염물질들이 빗물을 타고 '우수로'에 흘러들어가는데, 우수로에 들어간 물은 특별한 정화시설을 거치지 않고 바로 강이나 하천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수질 오염의 정도가 심하다.
우리나라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 중 '비점오염물'이 68%를 차지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개인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하지 못했던 곳에서 수질오염이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에 촉끼남은 조금 놀랐습니다.
그리고 이런 부분을 주의하여 앞으로 자연을 소중히 아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환경부나 한국환경공단에서 비점오염줄이기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비점오염을 줄이기 위한 저류지나 인공습지, 식생여과대, 식생수로 등을 건설하여 비점오염원을 통한 수질 오염을 막기 위해 다방면으로 힘쓰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 시민들도 강이나 하천으로 바로 유입되어 버리는 비점오염원들을 확실히 인지하고 '자연을 푸르게 푸르게~~'에 동참하여야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점오염'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지금까지 잡지식 스토리의 촉끼남이였습니다.
내용은 검색포털 사이트 '네이버'와 '한국 환경 공단' 사이트의 내용을 인용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다시 만나뵙도록 하겠습니다.
'진짜 잡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글]다른 누군가가 너에게 정답을 강요하지만,,, (0) | 2013.09.16 |
---|---|
[심야전용 시내버스]뚜벅이도 서러운데, 버스까지 끊겼네! (0) | 2013.09.13 |
[지하철 취객소란]이용승객 간 불편사항 1위, 취객소란..!! (0) | 2013.09.08 |
[경마공원]서울 경마공원 나들이 및 경마 베팅 방식 (0) | 2013.09.05 |
[윈도우7]편리해진 창 크기 조절기능, 이런 기능도 있네.. (0) | 2013.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