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문서 공부2013. 10. 5. 13:05
   

 

반갑습니다. 잡지식스토리의 촉끼남입니다.

이번에는  meta name태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meta name태그는 웹문서의 정보를 나타내는 태그로, 일반적으로 <head>...</head>태그 안에서 사용됩니다.

meta neme태그의 성값을 지정하고 웹문서의 정보를 나타내야 하는데, 이것은 cotent속성을 사용해서 나타냅니다.

name태그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값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application-name : web어플리케이션 용으로 만들어진 문서의 경우, 어플리케이션 이름을 나타냅니다.

auther : 웹문서의 저자를 나타냅니다

description : 웹문서의 기본 설명을 나타냅니다.

content속성의 속성값에 입력한 글이 검색 엔진의 검색 결과로 나타납니다.

generator : 웹문서를 작성하는데 사용한 프로그램의 이름을 나타냅니다.

keywords : 웹문서와 관련된 키워드를 지정합니다.

viewport : 스마트폰으로 웹문서를 열었을 때, 보이는 폭을 설정합니다.

 

기본적인 정리는 위와 같습니다.

그럼 이제, 예제를 통해서 조금더 감을 잡아보겠습니다. 

위의 HTML소스 문서를 보면, <head>태그 안에서 meta name태그가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eta name="속성값" content="name태그 속성값의 웹문서 정보"> 형식으로 태그가 사용되었습니다.

그럼 이제, 웹브라우저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을 해 보겠습니다.

body태그 안의 본문 내용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ead태그 안에서 사용된 태그이기 때문에 브라우저에서는 특별하게 표시되는 것은 없지만, 해당 웹문서의 기본 정보를 나타내는 태그이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 요  약 ---


<head>

<meta name="속성값' content="name태그 속성값의 웹문서 정보">

</head>

HTML소스를 위와 같이 작성하여 해당 웹문서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요약을 하면서, 이번 포스팅은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잡지식스토리의 촉끼남이였으며, 다음에는 더욱 유용한 웹문서 공부거리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Posted by DaumTistory